[을유 문화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나는 고등학교 시절 수학이 너무나 싫어서 수학과에 진학했다.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는 대부분의 경우 어떠한 수학적 사실을 증명 없이 소개한 뒤 곧바로 이를 적용하는 문제를 풀게 한다. 나는 이런 교과서의 서술 방식이 매우 마음에 들지 않았다. 물론 거대한 지식의 바다 앞에서 지적 유아에 가까운 한낱 고등학생에게 엄-밀한 증명을 들이밀기가 쉽지 않은 형편도 알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 교과서는 학생들에게 직관적으로라도 이해시키려는 일말의 노력조차 그 흔적을 찾을 수 없다. 또한 현실을 모델링하여 직접 문제를 탐구하고 해결하려는 방향의 교육은 전무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부분의 자연과학, 공학 분야에서 수학을 이용하는 방식이 모델링과 수치적으로 해석하는 일인데 말이다.
그래서 고등학교 시절 방학이면 수능 기출문제집을 뒤로한 채 (하라는 공부는 안 하고!) 동네 도서관에서 가서 대학교 수학 전공 서적과 인터넷을 뒤지며 고등학교 교과서 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었던 의문들을, 그 지적인 갈망을 해소하곤 했다. 그럼에도 무언가 더 많은 지식들을, 더 넓은 세상을 탐구하고 싶었고 그러기 위해선 대학에서 수학을 전공하면 되겠거니 하는 단순한 생각으로 수학과에 진학했다. 당연한 결과였을까, 수능에서 가장 점수가 낮았던 과목은 다름 아닌 수학이었다.
때문에 대학교에 진학해서도 교육 과정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왔다. 교과 범위를 계속해서 줄이면서 괴랄하게 올라가는 문제의 난이도와 문제를 위한 문제가 양산되어 가히 퍼즐에 가까워진 수능 시험은 머잖아 종말이 닥치리라는 예상을 안겨주었다. 고등학교 교육은 결국에 수능이라는 거대한 시험으로 수렴되기에, 활시위는 수능으로 향할 수밖에 없다. 「교실 이데아」는 수능, 즉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문제점을 하나씩 짚어간다. 본서는 수능은 객관식, 상대평가라는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학생들의 실력을 결코 일정 수준 이상 측정할 수 없고, 그 평가조차 신뢰할 만한 것이 그리 되지 못하다는 사실을 역설한다.
그래서 IB, 즉 인터내셔널 바칼로레아라는 국제 교육 제도를 대안으로 제시한다. 시험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교육 그 자체를 중점에 두고 학생의 다양한 능력을 기를 수 있게 하겠다는 목표는 크게 새로울 것이 없었지만, IB 교육의 평가 제도는 정말 놀라웠다. 흔히들 논술형, 주관식 시험은 평가자의 주관이 들어가기 쉬워서 공정하기 어렵다는 비판을 한다. 그러나 IB 교육은 여러 평가자들이 합의한 기준을 가지고 여러 차례 평가를 진행하며 편차가 아주 작게 되기까지 기준을 적용시킨다. 또한 여러 단계로 평가자들이 나뉘어 있어서 반복적으로 평가에 대한 검토가 진행된다. 본문에 소개된 평가 방식은 공정성에 굉장히 예민한 한국 정서에도 충분히 설득력이 있겠다고 느껴졌다.
바람직한 교육이란 무엇일까? 가히 '이데아'라고 불릴만한 교육 제도를 우리는 찾아낼 수 있을까? 확실한 점은 현 고등 교육과정과 수능 제도는 결코 아니라고 말할 수 있다. 현 상황보다 분명히 나은 점이 많은 IB 교육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바라는 '이데아'는 아닐 것이다. 그러나 필자와 비슷한 시기에 대입을 겪은 사람들이라면 「교실 이데아」의 많은 부분에 가슴 깊이 공감하리라고 확신한다. 그만큼 우리 안에는 '이데아'를 향한 갈망이 있고, 그 갈망의 많은 부분들을 IB 교육은 해소시켜 주리라 생각한다. 다음 세대를 위한 교육 제도로 IB 교육에 한 표를 던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