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14) 광시계를 통한 시간 팽창의 유도, 서로 다른 세상
·
Physics/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 입문
13) 광시계를 통한 시간 팽창의 유도 지난 포스트에서 로렌츠 변환으로 유도했던 시간 팽창을 Light Clock, 즉 광시계를 통한 사고실험을 도입해서 유도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x$축 방향으로 $V$의 속력으로 움직이는 우주선 안에 빛이 100% 반사율을 가지는 두 개의 거울 사이를 왕복 운동하는 장치가 있다. 거울 사이의 거리는 $L_0$로 일정하므로, 광속 불변의 원리에 의해 빛이 왕복운동하는 횟수는 시간에 비례하므로 이를 시계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우주선 내부 좌표계에서는 빛이 t0의 시간 간격을 가지고 위아래로만 왕복 운동하는 것으로 관측될 것이므로 $2L_0 = c \cdot t_0$ 의 관계가 성립한다. 그러나 우주선 밖 좌표계 기준으로는 우주선이 운동하고 있으므로 거울이 움직여..
11~12) 시간 팽창과 길이 수축
·
Physics/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 입문
동시성의 상대성에 이어서 특수상대성이론의 대표적인 결과인 '시간 팽창'(Time Dilation)과 '길이 수축'(Length Contraction)을 다뤄보자. 11. 시간 팽창 (Time Dilation) 다음 그림과 같이 $S$ 좌표계에 있는 관찰자가 $S$와 $S'$에 있는 시계가 가리키는 시간을 읽는 상황을 고려하자. 시계는 $S$를 기준으로 $x$의 위치에 있다. 이때 관찰자에 대해 정지해 있는 좌표계에서 읽는 시간을 '고유시간'(Proper Time)이라고 부른다. 위 그림에서 고유시간은 $S$에 있는 관찰자가 읽는 시간이므로 $t = t_1, t = t_2$가 고유시간이다. $S$에서 읽는 고유시간 간격 $t_0$는 $t_0 = t_2 - t_1$이다. 따라서 $S$에 있는 관찰자가 읽어내..
10) 동시성의 상대성
·
Physics/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 입문
10. 동시성의 상대성 (Relativity of Simultaneity) 특수상대성이론을 통해 말할 수 있는 현상 중 가장 대표적인 것 중 하나인 '동시성의 상대성'을 다뤄보자. 우선, '동시'란 개념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어떤 관측자에게 서로 다른 두 개의 사건이 동시라는 말은 사건의 신호의 속력과 사건까지의 거리를 이용해 실제 사건 발생 시간을 계산했을 때, 두 사건이 발생한 시간 좌표값의 차, 즉 "$\Delta t$"가 0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Section 0에서 언급했듯이, 뉴턴에 의하면 시간과 공간은 관측자에 의존하지 않고 절대적이므로, 두 사건이 서로 다른 두 관측자에게 각각 같은 거리에 있고 신호의 속도가 동일하다면 반드시 동시에 일어나야 한다. 그러나 로렌츠 변환은 관측자의 좌표계의 ..
7~9) 특수상대성이론의 배경, 원리
·
Physics/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 입문
7. 특수상대성이론의 배경 지금까지의 역사적 배경을 정리하며 특수상대성이론을 도입해보자. 20세기 전까지 거의 모든 과학자들은 절대적으로 정지해있는 매질인 에테르의 존재를 확신했다. 때문에 마이켈슨과 몰리는 에테르 존재의 실험적 증거를 확인하기 위해 여러 차례의 실험을 반복했지만, 에테르의 존재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 과정에서 피츠제랄드, 로렌츠, 라모, 푸앵카레와 같은 초기 상대론자들은 새로운 변환식인 로렌츠 변환을 만들었다. 그러나 끝내 이들은 로렌츠 변환식을 해석하지 못했고, 1905년 아인슈타인이 특수상대성이론에 관한 논문을 발표함으로서 비로소 그 문제가 해결되었다. 아인슈타인과 초기 상대론자들의 가장 결정적인 차이는 무엇이었을까? 여러번 언급했지만, 핵심은 에테르 존재의 믿음 여부에 있었다. ..
5~6) 로렌츠 변환과 로렌츠 속도 변환
·
Physics/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 입문
5. 로렌츠 변환의 의미와 역 로렌츠 변환 지난 포스트에서 다루었던 로렌츠 변환을 다시 한 번 살펴보자. $$\begin{align*} &x' = \gamma (x - Vt) \\ &y' = y \\ &z' = z \\ &t' = \gamma (t - \frac{Vx}{c^2}) \end{align*}$$ 갈릴레이 변환은 뉴턴 역학에서 불변성을 유지할 때 잘 들어맞았지만, 맥스웰 방정식 즉 전자기학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그렇게 해서 만들어진 새로운 변환식이 로렌츠 변환이었고, 이로 인해 절대적이라고 믿어왔던 시간과 공간 모두 상대적이며, 독립적으로 움직이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임의의 관측자가 어떤 사건에 대해 $(x, y, z, t)$라는 정보를 얻었다면, 이 관측자의 좌표계에 대해 $+x$ 방향..
3~4) 갈릴레이 변환과 로렌츠 변환
·
Physics/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 입문
3. 갈릴레이 변환 로렌츠 변환을 살펴보기에 앞서, 상대성이론이 등장하기 전까지 뉴턴역학에서 사용되었던 갈릴레이 변환을 살펴보자. 갈릴레이 변환이란 관성좌표계 사이에서 사용되는 좌표변환식이다. 즉 Figure 1과 같이 운동방향의 좌표가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시간은 어느 좌표계에서나 동일한데, 이를 '절대시간'이라 부른다. 이 변환식을 통해 뉴턴역학을 기술하게 되면 어느 좌표계에서나 물리량들은 불변, 즉 Invariant하다는 결론이 도출된다. 이렇게 관성좌표계에서 일어나는 모든 물리법칙은 불변(Invariant)하다는 원리(principle)를 '갈릴레이 - 뉴턴 상대론'이라고 부른다. 이를 다시 해석하면, 좌표계에 상관없이 모든 물리법칙이 동일한 방식으로 일어나므로 모든 관성계는 자신이..
0~2) 에테르와 마이켈슨 - 몰리 간섭계
·
Physics/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 입문
이 포스트는 경북대학교 2022년 2학기 교양과목인 수업의 내용을 역사적 배경과 학문의 발전 흐름에 초점을 맞추어 일부 요약 및 정리한 것이다. 포스트의 목적은 과목의 수강자인 본인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기 위함이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988028 두개의 수레바퀴: 기초편 | 손상호 - 교보문고 두개의 수레바퀴: 기초편 | 『두개의 수레바퀴: 기초편』은 상대성이론에 대해 다룬 도서이며 〈과학의 시작과 고전 물리학〉, 〈상대성이론〉, 〈아원자와 특별한 빛〉 등을 수록하고 있다. product.kyobobook.co.kr 0. 상대성이론 흔히들 상대성이론은 아인슈타인이라는 천재 과학자가 만들어낸 이론 정도로 알고 있을 듯 싶다. 물리학에 관심이..